캐산 Sins

덤프버전 : (♥ 0)

캐산 Sins (2008~2009)
キャシャーン Sins
파일:attachment/1283704210_cashaan1.jpg
작품 정보 ▼

장르포스트 아포칼립스, SF
원작타츠노코 프로덕션
감독야마우치 시게야스
감독 조수나카야마 나오미
시리즈 구성코바야시 야스코
캐릭터 디자인우마코시 요시히코
미술 감독이범선(李凡善)
색채 설계츠지타 쿠니오(辻田邦夫)
촬영 감독타나다 코헤이(棚田耕平)
편집키무라 카시코(木村佳史子)
음악와다 카오루
이그제큐티브 프로듀서코바야시 켄이치(小森健一)
카와무라 아키히로(川村明廣)
마루타 준고(丸田順悟)
코하라 아키히로(小原昭博)
타나카 슈이치로(田中修一郎)
프로듀서오오모리 히로유키(大森啓幸)
우에마 야스히로(上間康弘)
애니메이션 프로듀서후지오 츠토무(藤尾 勉)
애니메이션 제작매드하우스
제작캐산 Sins Project
방영 기간2008. 10. 02. ~ 2009. 03. 19.
방송국파일:일본 국기.svg 테레비 사이타마 / (목) 01:30
편당 러닝타임24분
화수24화
시청 등급정보 없음
관련 사이트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


1. 개요
2. 공개 정보
2.1. PV
3. 등장인물
4. 음악
4.1. 주제가
4.1.1. OP
4.1.2. ED1
4.1.3. ED2
4.1.4. 13화 ED
4.2. 삽입곡
5. 회차 목록
6. 평가



1. 개요[편집]


타츠노코 프로덕션에서 제작한 애니메이션 신조인간 캐산매드하우스에서 총 24화로 구성한 리부트작. 야마우치 시게야스 감독이 토에이 애니메이션에서 독립한 후에 매드하우스에 와서 만든 작품으로 참여하는 스태프 상당수가 그를 따라 온 토에이 출신이다.


2. 공개 정보[편집]



2.1. PV[편집]


PV


3. 등장인물[편집]




4. 음악[편집]



4.1. 주제가[편집]



4.1.1. OP[편집]


OP
青い花
TV ver.
Full ver.
노래컬러 보틀(カラーボトル)
작사타케모리 마사유키(竹森マサユキ)
작곡아케이시 마사오(明石昌夫)
컬러 보틀(カラーボトル)
편곡아케이시 마사오(明石昌夫)
주제가 애니메이션 정보 1 ▼
주제가 애니메이션 정보 2 ▼
가사 ▼

(원어 가사)
(원어 발음)
(한국어 가사)
(원어 가사)
(원어 발음)
(한국어 가사)



4.1.2. ED1[편집]


ED1 (1~12화)
reason
TV ver.
Full ver.
노래KΛNΛ
작사카와에 미나코(川江美奈子)
작곡
편곡HΛL
주제가 애니메이션 정보 ▼

콘티키무라 노부카게(木村延景)
연출
작화감독우마코시 요시히코
작화오쿠다 요시코(奥田佳子)

가사 ▼

(원어 가사)
(원어 발음)
(한국어 가사)
(원어 가사)
(원어 발음)
(한국어 가사)



4.1.3. ED2[편집]


ED2 (14~23화)
光と影
TV ver.
Full ver.
노래쿠노 신지(クノシンジ)
작사
작곡
편곡쿠노 신지(クノシンジ)
타나야 유이치(棚谷祐一)
주제가 애니메이션 정보 ▼

콘티나카야마 나오미
연출
작화감독우마코시 요시히코
작화토미나가 마리(とみながまり)

가사 ▼

(원어 가사)
(원어 발음)
(한국어 가사)
(원어 가사)
(원어 발음)
(한국어 가사)



4.1.4. 13화 ED[편집]


13화 ED / 11, 12화 삽입곡
蒼い影
Full ver.
노래音屋吉右衛門'寿
작사세라 키미노리(世良公則)
작곡
편곡音屋吉右衛門
가사 ▼

(원어 가사)
(원어 발음)
(한국어 가사)
(원어 가사)
(원어 발음)
(한국어 가사)



4.2. 삽입곡[편집]


8, 17, 19화 삽입곡
A Path
Full ver.
노래미야하라 나미
작사
작곡미야하라 나미
구시 타케노리(具志岳典)
가사 ▼

(원어 가사)
(원어 발음)
(한국어 가사)
(원어 가사)
(원어 발음)
(한국어 가사)


8, 18화 삽입곡
SKY
Full ver.
노래미야하라 나미
작사
작곡
가사 ▼

(원어 가사)
(원어 발음)
(한국어 가사)
(원어 가사)
(원어 발음)
(한국어 가사)



5. 회차 목록[편집]


회차제목각본콘티연출작화감독총작화감독방영일
1終末の世界で
종말의 세계에서
코바야시 야스코야마우치 시게야스우마코시 요시히코-2008.10.02.
2世界は断末の声に満ちて
세계는 단말마로 가득하다
2008.10.09.
3苦悩の果てに
고뇌의 끝에
야마토야 아카츠키나가미네 타츠야니시이 테루미우마코시 요시히코2008.10.16.
4滅びの天使
멸망의 천사
타카하시 나츠코야마우치 시게야스우마코시 요시히코-2008.10.23.
5月という名の太陽を殺した男
달이라 하는 태양을 죽인 남자
카미시로 츠토무오오히라 나오키
(大平直樹)
키무라 노부카게
(木村延景)
후쿠다 노리유키
[이펙트]
(ふくだのりゆき)
오쿠다 요시코
(奥田佳子)
백남열
(白南烈)
우마코시 요시히코2008.10.30.
6運命との再会
운명과의 재회
이토 나오유키오쿠다 요시코2008.11.06.
7高い塔の女
높은 탑의 여자
요시다 레이코야마우치 시게야스야마우치 시게야스토미나가 마리
(とみながまり)
2008.11.13.
8希望の賛歌
희망의 찬가
야마토야 아카츠키이토 타츠후미2008.11.20.
9滅びの谷に咲く花
멸망의 계곡에 핀 꽃
카미시로 츠토무키무라 노부카게아오키 테츠로
(青木哲郎)
2008.11.27.
10過去に囚われた男
과거에 사로잡힌 남자
코바야시 야스코이토 나오유키하야마 준이치-2008.12.04.
11己の使命のもとに
스스로의 사명 아래에서
카미시로 츠토무千堂寺拓馬하타노 코헤이하야마 켄지
(羽山賢二)
2008.12.11.
12生きた時間を色にして
살아온 시간을 색으로 하여
타카하시 나츠코나가미네 타츠야니시이 테루미2008.12.18.
13過去は目の前に満ちる
과거가 눈앞에 어른거린다
코바야시 야스코키무라 노부카게오쿠다 요시코우마코시 요시히코2008.12.25.
14真実は闇を照らし
진실은 어둠을 비추고
카미시로 츠토무미야시타 신페이
(宮下新平)
이토 타츠후미2009.01.08.
15死神ドゥーン
사신 둔
타카하시 나츠코야마우치 시게야스우마코시 요시히코-2009.01.15.
16信じる力のために
믿는 힘을 위해
야마다 타카시
(山田隆司)
키무라 노부카게야마무로 타다요시
와타나베 나츠키
(渡辺奈月)
우마코시 요시히코2009.01.22.
17ガラスのゆりかご
유리의 요람
타카하시 나츠코이토 나오유키하야마 준이치
하마다 쿠니히코
키타오 마사루
우마코시 요시히코
-2009.01.29.
18生きた時これからの時間
살아온 때 지금까지의 시간
야마토야 아카츠키야마우치 시게야스마루 카나코
(丸 加奈子)
우마코시 요시히코2009.02.05.
19心に棲む花を信じて
마음 속의 꽃을 믿으며
요시다 레이코나카야마 나오미오쿠다 요시코2009.02.12.
20誰がために花は咲く
누군가를 위해 꽃이 핀다
타카하시 나츠코최은영2009.02.19.
21失望の楽園
실망의 낙원
요시다 레이코미야시타 신페이키무라 노부카게키요마루 사토루
(清丸 悟)
사이토 이타루
(齊藤 格)
타카냐
(たかにゃー)
츠치카와 노리카
(土河紀夏)
사쿠라이 마사아키
(桜井正明)
키타오 마사루
2009.02.26.
22永遠という名の雫
영원이라는 이름의 물방울
코바야시 야스코야마우치 시게야스나카야마 나오미하마다 쿠니히코
키타오 마사루
하야마 준이치
토미나가 마리
오쿠다 요시코
2009.03.05.
23還る者たち
돌아오는 자들
키무라 노부카게니시이 테루미-2009.03.12.
24巡り咲く花へ
돌아오며 피는 꽃에
야마우치 시게야스우마코시 요시히코2009.03.19.


6. 평가[편집]


캐릭터 디자인과 아주 기초적인 설정만 빌려오고, 그 외에는 전부 오리지널 설정으로 채워져 있다. 기본적인 스토리 라인부터 전혀 다르기 때문에 같은 캐릭터가 나오는 별개의 작품으로 보는 게 좋다.

희망찬 해피 엔딩으로 끝났던 이전 시리즈와 달리 내용이 굉장히 슬프고 비참하다. 망한 세계의 재건이 아니라 멸망해가는 세계와 죽어가는 사람들(여기선 로봇들이지만)에 초점을 맞추고 있어서 기존 캐산 시리즈를 기대하고 봤다간 멘붕당하기 십상.

기존 캐산 시리즈의 히로인인 루나 같은 경우 성격이 악독해지고 디자인은 로리스러워진데다 머리카락은 금발이 아닌 은발이다.

캐산 Sins의 특징이라고 하면, 독특한 작화가 일품인데 굵고 지저분하지만 강렬한 선이라든지, 감성적인 색채라든지 기존의 애니메이션 작화와는 다른 일면을 보여준다. 일단 작화가 매우 좋은 것도 있다. TV 애니메이션이면서 퀄리티는 극장판급이라 볼 수 있을 정도. 작화를 잘 살려주는 연출이나 배경 OST도 일품. 그 이유는, 작화를 담당한 담당자가 오자마녀 도레미 시리즈의 작화를 맡은 우마코시 요시히코인 덕이 컸다. 우마코시 요시히코는 정말 뛰어난 작화로 이 작품을 이끌었다.

액션신 역시 수준급이다. 야마우치 시게야스 감독부터가 세인트 세이야 시리즈, 드래곤볼 극장판으로 단련된 액션 연출의 전문가이고, 나가미네 타츠야도 참여했다. 일단 연출이 장난 아니기 때문에 구성이라든지 그러한 것을 보면 이제까지 봐온 액션신 중에서도 굉장히 참신한 구성이 있기도 하다.

성우도 초호화. 후루야 토오루, 미나구치 유코, 야지마 아키코, 우츠미 켄지, 모리카와 토시유키, 코야마 마미, 겐다 텟쇼, 이시다 아키라 등이 참여. 오디션으로 뽑았다는데 세키 토모카즈는 캐산 역 오디션을 봤다가 떨어졌으며 "이 분들을 어떻게 이겨요"라고 한탄했다고 한다.[1]

감독이 세인트 세이야 출신인데다 우마코시 요시히코의 캐릭터 디자인은 다분히 세이야의 아라키 신고의 디자인을 의식했으며 성우도 세이야랑 같은 후루야 토오루라서 캐산 Sins가 아니고 세이야 Sins라고 불리기도 할 정도로 분위기가 비슷하다.

특히 캐산 Sins의 OST는 인기가 많은데 오프닝인 「푸른 꽃」부터 작품 내에서 가희인 쟈니스가 부른 「a Path」와 같은 OST들은 캐산 Sins를 모르는 사람이라도 좋아할 만한 곡.

처음 13화까지는 옴니버스적인 구성방식이었으나 13화를 기준으로 스토리 구성 방식이 바뀌면서 전개가 제법 빨라진다.

각본이, 헤이세이 라이더를 시리즈로 이끈 주역이라는 코바야시 야스코임에도 불구하고 떡밥이 아직도 회수가 안된 작품이기도 하다. 일단 화수가 적기도 하고, 중간에 별 쌩뚱맞은 에피소드가 들어가기도 하고…(대표적인 예로는 17화인 「유리의 요람(ガラスのゆりかご)」) 감독 말로는 이건 분량 조절에 실패한 자신의 미스였다고 한다.[2]

그렇지만 주제 의식은 강해서 처음부터 끝까지는 변함없이 유지되는 편이다. 13화 이전의 옴니버스적 스토리 구성 방식은 자신의 기억을 잃은 캐산이 멸망해 가는 세계에서 살아가는 다양한 사람(또는 로봇)들을 만나면서 '사람은 어떻게 살아가는 것이다'라고 인식하게 해준다. 그리고 13화 이후에서는 루나의 등장으로 인해 「영원한 생명은 있지만, 어떻게 살아가는 것이 진정으로 살아가는 것인가?」라는 질문을 던진다. 간접적이라고 하면 간접적이지만 꽤나 직접적으로 주제가 드러나는 작품이기도 하다.

이렇듯 작품 자체의 평가는 좋은 편이지만, 그와는 정반대로 판매량은 폭망했는데, 광미디어 상품의 판매량은 집계조차 되지 않을 정도인 비운의 작품이다. 사실 스토리만 봐도 등장인물 대부분이 사망하는 불쾌하고 어두운 내용이라는 점에서, 대중적으로 성공하는건 처음부터 불가능했을지도 모른다. 그나마 액션 연출이 뛰어나다는 입소문을 타면서 방영 뒤 한참이 지나서도 찾아보는 사람도 조금씩은 생기고 있다. 전투신 좋은 애니를 좋아하는 서양에선 인지도가 그럭저럭 있다.

야마우치 시게야스 감독은 분량 조절에 실패했다면서 아쉬움이 있는 작품이라고 했으나 평론가 오구로 유이치로는 걸작이라고 추천하고 있다.# 애니메이션 감독 게소 이쿠오는 이 작품은 명작이며 자신의 인생 작품이라고 평했다.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2-20 07:22:01에 나무위키 캐산 Sins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이펙트] [1] 세키 토모카즈는 극중 조연으로 캐스팅 되었다.[2] 의외로 각본가는 작품에 영향을 주기 힘든 위치고 작품에 문제가 생기면 감독 문제인 경우가 많다.